[초점] 식품 vs 제약 건기식 시장 놓고 격돌 …승자 누가 될까
김승권 기자
[아이뉴스24 김승권 기자] 식품기업과 제약사의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시장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과거 KGC인삼공사를 필두로 한 홍삼 제품이 대부분이던 건기식 시장이 다양한 제품군의 등장으로 지속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서로 전문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 간의 경쟁 구도가 가열되는 추세다.
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기식 생산 실적은 2조 2천642억원으로 전년(1조9천464억원) 대비 16.3% 증가했다. 최근 건강기능식품 생산 성장세는 2018년 16.6%, 2019년 12.6%, 2020년 16.3% 등 매년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들 모습 [사진=건강스토어 캡처] ◆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성장 가속
해외에서 생산되어 직수입되는
퀵커머스 시장 유통업계 새로운 격전지로 부상… 배달앱·편의점에 식품업체도 가세 : 100세시대의 동반자 브릿지경제 viva100.com - get the latest breaking news, showbiz & celebrity photos, sport news & rumours, viral videos and top stories from viva100.com Daily Mail and Mail on Sunday newspapers.
美 신라면·中 오감자…각국 마트에 빼곡 쌓인 K국민간식 들
sns공유 더보기
머니투데이
러시아에서 판매 중인 롯데칠성음료 밀키스
━
━
1500 -1.3%)은 2003년 러시아 법인을 세운 후 최근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가장 효자는 초코파이다. 2011년 메드베데프 전 대통령이 차를 마시며 초코파이를 곁들이는 사진이 언론에 소개되면서 대통령도 즐기는 간식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지난해 매출은 약 730억원으로 전년 대비 30% 성장했다. 러시아인들은 맥도날드 햄버거나 코카콜라 못지않게 초코파이를 즐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차(tea)와 케이크를 즐겨먹는 식습관과 맞아떨여졌다.
hy(옛 한국야쿠르트)의 팔도 도시락 은 러시아 국민라면으로 통한다. 용기면 부문에서 60%이 넘는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다. 광범위하게 상표권을 인정받는 저명상표 에 한
LG헬로비전 프레딧 에서 알뜰폰 유심 판다
송혜리 기자
hy 관계자가 헬로모바일 유심 판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헬로비전]
[아이뉴스24 송혜리 기자] LG헬로비전 헬로모바일이 프레딧 에서 유심을 판매한다. 이를 통해 회사는 편의점과 오픈마켓에 이어 신선·유기농 온라인몰까지 고객 접점을 확장한다.
LG헬로비전(대표 송구영)은 헬로모바일이 유통전문기업 hy(구 한국야쿠르트) 와 신선·유기농 선별샵 프레딧 에서 알뜰폰 유심을 판매한다고 14일 발표했다.
이번 제휴는 온라인 장보기와 오프라인 배달이 연계된 온·오프 융합(O2O) 서비스가 핵심이다. 프레딧 에서 유심을 주문하면, 야쿠르트 배달로 친숙한 전국 1만1천명 프레시 매니저 가 배송 요청일에 집 앞을 찾아간다.
프레시 매니저를 통해 유심을 수령한 후에는 다이렉트몰에서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