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10일 경남 진주시 대곡면. 주민 강원기(64)씨가 비닐하우스를 뚫고 들어온 무게 9.36㎏짜리 돌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훗날 ‘진주 운석 1호’로 명명된 운석이 처음 모습을 드러낸 순간입니다. 군부대 불발탄일 거라고 생각한 강씨의 신고에 “불발탄이 아닌 암석”이라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이튿날 인천시에 있는 해양수산부 산하 극지연구소에서 보내온 분석 결과는 더 놀라웠습니다. 평범한 돌이나 군부대 불발탄이 아닌 우주에서 날아온 ‘운석’으로 판명된 겁니다. 이후 진주에서는 미천면 오방리(4.1㎏)와 오방리 504묘지 인근(420g), 집현면 덕오리(20.9㎏) 등에서 3개의 운석이 더 발견됐습니다. 진주 운석은 1943년 전남 고흥군 두원면 야산에서 발견된 ‘두원 운석’ 이후 국내에서 발견된 2번째 운석으로 기록됐습니다.
진주 운석 1~4호의 이동 경로는 국민들의 흥미를 자극했습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서 떨어져 나온 운석들이 우주를 떠돌다 지구의 인력에 끌려들어온 것으로 조사된 겁니다. 이후 운석들은 한국 수도권 상공에서 대기권에 진입한 뒤 경남 함양·산청군 상공에서 폭발해 진주 곳곳에 떨어졌습니다.
강원기씨가 진주 운석으로 만든 반지. 송봉근 기자
“우주를 날아다니던 운석이 떨어졌다”는 소식에 전국에서 인파가 몰렸습니다. “하늘에서 떨어진 좋은 기운을 얻고 싶다”며 운석이 발견된 진주로 향한 겁니다. 막무가내로 운석이 떨어진 곳을 향해 큰절을 올리거나 “운석이 발견된 자리의 흙을 사겠다”는 사람들도 줄을 섰습니다.
금속탐지기를 들고 운석 찾기에 나선 ‘운석 사냥꾼’이 등장한 것도 바로 이때입니다. 모두 “진주 운석의 가치가 g당 10만원에 달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벌어진 일입니다. 여기에 “소치 겨울올림픽 메달에 사용된 운석이 g당 236만원에 팔렸다”는 이야기까지 더해지면서 운석의 몸값은 한껏 치솟았습니다. 진주 운석이 “하늘에서 떨어진 로또”라고 불리게 된 사연입니다.
진주 운석은 국내 법까지도 바꿔놓았습니다. 국회가 운석 발견 8개월여 만인 2014년 12월 ‘진주운석법’(우주개발진흥법 일부 개정 법률)을 통과시킨 겁니다. 이 법은 운석의 국외 반출 금지 및 운석 등록제 등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정부 “g당 1만원” 제시하자 분위기 급랭
2014년 3월 10~17일까지 경남 진주에서 4개의 운석이 발견됐다. 대곡면 한 비닐하우스에서 발견된 진주 운석 1호(9.36㎏). 송봉근 기자
정부도 운석을 매입하는 작업에 나섰습니다. “태양계의 기원과 생성, 변천 과정 등 우주과학 연구에 소중한 정보를 줄 수 있다”는 게 근거였습니다. 하지만 당시 불붙었던 매입 열기는 이내 싸늘하게 식었습니다. 운석 소유자들이 g당 1만원을 제시한 정부의 안을 거부하면서 협상이 결렬된 겁니다. 이후 진주 운석은 한 은행 금고에 비닐에 진공 포장된 상태로 7년 가까이 보관돼 있습니다.
지구 추락 후 운명이 바뀐 운석들도 있습니다. 진주 운석 1호 소유주인 강원기씨 부부가 ‘운석 반지’를 만든 게 중앙일보 취재 결과 새롭게 확인된 겁니다. 강씨는 “발견 당시 극지연구소로부터 되돌려 받은 운석 100g을 가지고 반지를 7~8개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최초 분석 당시 절단한 진주 운석 1호 중 200g 중 100g만 실험용도로 사용하고 남은 100g이 반지로 재탄생한 겁니다.
향후 운석을 활용하는 방식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정부에서 더는 운석을 살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소유자인 강씨가 반지·목걸이·귀고리 등으로 만드는 방안을 생각 중이어서입니다. 광활한 우주를 날아다니던 진주 운석이 지구에서 어떤 운명을 맞게 될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