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mela.com


EU 탄소국경세 도입안 발표…그린 모멘텀 수혜 종목은?
입력 2021-07-15 11:46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14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탄소배출 감축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는 이날 역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최소 55% 감축하기 위해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고, 2035년부터 EU 내 신규 휘발유·디젤 차량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내용 등을 담은 정책 패키지를 제안했다. (AP=연합)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세 적용 등의 내용을 담은 친환경 정책 패키지를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탄소국경세는 일종의 관세 역할로 탄소배출 많은 철강, 석유화학 업종 등 수출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탄소배출 절감 기업엔 그린모멘텀 수혜 기대감이 더 커지게 됐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58분 현재 코스피시장에서 현대차는 전 거래일 대비 0.43%(1000원) 상승한 23만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1.06% 오른 28만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 상아프론테크는 4.17% 오른 5만2500원에 거래중이다. 이 종목들은 최근 그린모멘텀 수혜 기대감 등에 힘입어 연초 대비 각각 19.79%(14일 종가기준), 10.5%, 10.28% 올랐다.
EU 집행위원회의 ‘핏포55(Fit for 55)’는 2030년 EU의 평균 탄소배출량을 1990년의 55% 수준으로 낮추는 법안으로, 탄소국경제도와 탄소거래제도, 내연차 규제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수출 중심 국내기업은 탄소배출 감축을 가속화해야 한다.
현대차는 수소트럭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현대모비스는 수소연료전지모듈을 생산 중이다. 2030년 EU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평균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치가 기존 37.5%에서 55%로 강화되면서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됐다는 평가다. 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치 상향 조정은 국내 전기차와 수소차 밸류 체인에 긍정적”이라며 “2030년까지 새로운 목표치 달성을 위해 완성차 업체는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더 빠르게 확대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 연구원은 “특히 수소차 충전 인프라 확충이 입법화되면서 EU내 수소 상용차 보급 속도가 빠르게 상승할 것”이라며,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 수혜라고 전망했다.
상아프론테크는 수소연료전지 스택의 핵심소재인 멤브레인을 상용화한 기업이다. 이날 발표된 공시에 따르면 2분기 영업이익이 38억원(잠정)으로 전년 동기대비 115.4% 증가했다. 매출은 463억원으로 같은 기간 39.1% 증가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탄소국경세 등으로 국내 제조업들은 그린화하지 못하면 수출기회를 제한당하게 됐다”며 “차기 정부가 진보이던, 보수이던 제조업들의 저탄소 체제로의 전환은 수출 중심 한국경제에 필수적”이라며 수소산업과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산업의 국내기업에 긍정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유럽의 탄소국경세는 탄소배출권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제품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인증서를 추가로 구매해야 하므로 일종의 관세 역할을 하게 된다”며 “수출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국내 철강, 석유화학 업종에 악재”라고 짚었다. 한 연구원은 “인증서 가격은 배출권 시장 가격과 연동될 가능성이 높다”며 “배출권 가격 상승압력이 높아지면서 침체된 국내외 배출권 거래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글로벌 탄소 거래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며, “배출권 시장은 유망한 장기 투자처가 될 수 있다”고 짚었다. 강 연구원은 “국내 배출권 거래시장은 실수요 목적의 기업체만 참가 가능하지만 개인투자자들은 탄소배출권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통해 투자하는 방법을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Related Keywords

Japan ,United States ,South Korea ,Belgium ,Korea , ,Center The Korea Economic Daily ,European Union ,Korea Exchange ,Eugene Investment Securities Research ,Executive Chairman European Union ,Eugene Investment ,Japan Failure ,Korea Economic Daily ,Securities Research ,Stephen Kim Sou Hwan ,ஜப்பான்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தெற்கு கொரியா ,பெல்ஜியம் ,கொரியா ,ஐரோப்பிய தொழிற்சங்கம் ,கொரியா பரிமாற்றம் ,யூஜின் முதலீடு ,கொரியா பொருளாதார தினசரி ,பத்திரங்கள் ஆராய்ச்சி ,ஸ்டீபன் கிம் சௌ ஹ்வ்யாந் ,

© 2025 Vimarsana

comparemela.com © 2020.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