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mela.com


세계 민간경제단체 절반 "국지적 코로나 발발로 경제회복 지연 전망"
전경련 코로나 2년차 세계경제 전망 설문조사…자국중심주의 강화 예상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2021-07-04 11:00 송고
글로벌 민간 경제계가 올해 반복적인 코로나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경제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전 세계 주요 18개국 대표경제단체 및 국제기구·경제협의체를 대상으로 지난 5월~6월에 걸쳐 실시한 '세계경제 결정적 순간: 코로나 2년차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절반가량인 47.4%가 경제성장 지연을 전망했다.
◇국지적 코로나 재발로 경제성장 지연 전망…자국 중심주의도 강화
세계경제의 코로나 회복 양상과 관련해서는 대다수(84.1%)가 코로나의 반복적인 국지적 재발이 올해 세계경제를 특징지을 것으로 봤다. 또 응답자의 절반 가량(47.4%)이 "코로나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단기적으로 경제성장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 10.5%는 "장기적으로도 경제회복이 늦춰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절반이 넘는(52.4%) 세계경제단체가 IMF가 예상한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6%보다 낮은 경제성장률을 전망했으며, 마이너스 경제성장을 예상한 경제단체도 38.1%에 달했다.
세계경제단체들은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의 경우 향후 1년 반 안에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경제가 회복(71.4%)될 것으로 봤다. 그러나 백신 배포가 늦은 국가의 경우 3년 이상이 소요(52.4%)되는 등 경제회복 속도의 격차가 있을 것으로 봤다.
한편 세계 경제단체들은 앞으로 자국중심주의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봤다. 이에 수출 위주의 한국 경제에게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경련은 전망했다.
응답 국가의 47.7%(약한 자국중심주의 38.2% 및 강한 자국중심주의 9.5%)가 다자주의·세계화가 향후 계속해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측했으며, 9.5%는 코로나19로 훼손된 작년·올해 수준의 현상 유지, 42.8%(약한 다자주의 33.3% 및 강한 다자주의 9.5%)가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미중갈등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질서와 관련해서는 절대다수인 90.5%(디커플링 심화 42.9% 및 첨단 산업 미국, 공급사슬 중국 양분 47.6%)가 미중 경제대립 첨예화를 예상해 미중 사이의 한국기업의 입장은 더욱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응답 국가의 47.6%가 첨단산업은 미국이 주도하고 전통제조업의 공급사슬은 중국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세계경제가 양분화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42.9%는 전방위적인 중국과의 디커플링 심화를 전망했다.
바이든 주도로 미국이 리드하는 세계 경제질서가 강화될 것으로 본 응답자는 9.5%에 머물렀다. 한편, 중국이 세계적으로 주요국 중 유일하게 작년 코로나 시국에서 플러스 경제성장을 이룬 점이 코로나 발생 이후 가장 예상치 못했던 사실 중 2위(22.6%)로 꼽혀, 세계 각국이 중국의 부상을 예의주시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전경련 제공)© 뉴스1
◇글로벌 공급망 변화 확인…정부 기업 지원정책 중요
코로나 강타 이후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국 공급망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이 57.1%로 과반을 넘었고,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38.1%로 나타났다.
공급망 변화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국내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오프쇼어링(29.2%), 제조시설이 본국에 인접한 국가로 재배치되는 니어쇼어링(25%) 등 해외 공급망이 적극적으로 개척· 다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본국으로 되돌아오는 리쇼어링(16.6%) 형태도 다수 조사됐다.
세계 주요국 경제계는 각국 정부의 코로나 대응 기업 지원책이 실제로 도움이 되었다(71.4%-매우 도움 됨 38.1%, 다소 도움 됨 33.3%)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재정정책 운용 방향을 올해까지는 긴축재정으로의 전환(25%)보다는 확정재정 기조를 지속(75%)시켜야 한다고 판단했다.
세계경제단체들은 코로나 이후 예상되는 실업, 금융불안정, 빈곤 심화보다 기업의 생존 문제를 가장 큰 위협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코로나 부양책 종료 후 드러날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응답자의 38.2%가 '정부 인공호흡으로 버텨 온 기업들의 도산'을 1순위로 꼽았다.
최근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글로벌 최저법인세, 탄소세, 디지털세 등 기업 대상의 각종 세금에 대해서 '정치 리더십이 한계에 부딪힌 재정 이슈를 각종 세금의 형태로 기업에 전가한다(36.4%)'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 이후 도입된 원격근무가 영구히 정착할 것으로 판단했다. 원격근무와 현장근무가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운영되는 가운데 오피스 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는 응답이 81%, 원격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는 응답이 나머지 19%를 차지했다.
한편 지난 1년간 코로나19를 겪으며 드러난 가장 예상치 못했던 사실로 '전 세계적인 백신 접종 거부 현상(35.5%)'이 1위로 꼽혔으며, '중국의 세계 유일한 플러스 경제성장(22.6%)'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체감 경제전망이 국제적인 공식 통계보다 비관적으로 올해 세계경제 회복에 대한 낙관은 아직 조심스럽다"며 "경제는 심리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코로나 정부지원 종료 후 기업의 줄도산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기업 생존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말했다.
dkim@news1.kr
이런 일&저런 일

Related Keywords

China ,United States ,South Korea ,Chinese , ,Center United States ,United States Regarding ,Industrial United States ,Corona Plus ,Chinese World ,சீனா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தெற்கு கொரியா ,சீன ,மையம்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தொடர்பாக ,தொழில்துறை ஒன்றுபட்டது மாநிலங்களில் ,சீன உலகம் ,

© 2025 Vimarsana

comparemela.com © 2020.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