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가
가
가
가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이 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제네바/로이터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4일(현지시각) 코로나19 백신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적어도 9월 말까지는 중단해달라고 촉구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은 이날 화상 언론브리핑을 통해 부자 나라에서는 백신이 100명당 100회분이 투여된 반면 가난한 나라에서는 100명당 1.5회분만 공급됐다며 이렇게 요구했다고 (AP)가 보도했다.
그는 세계보건기구가 지난 5월 모든 나라의 인구 10%가 백신을 맞도록 하는 목표를 발표한 사실을 지적하며 “백신 추가접종을 적어도 9월 말까지 중단해 적어도 인구의 10%가 백신 접종을 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세계보건기구는 2차 접종까지 마친 사람에게 추가접종을 하는 것이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는 데 효과적인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고 밝혀왔다. 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장기간 계속되면 변이 바이러스 발생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안전할 때까지 누구도 안전할 수 없다며 부자 나라의 백신 기부를 권고해 왔다.
이에 대해 거브러여수스 총장의 특보 브루스 아일와르드는 백신 접종이 뒤처진 나라들이 어느 정도 따라잡을 때까지만 추가접종을 연기해달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변이 바이러스가 잇따라 출현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우리는 전 세계가 함께 코로나19에서 탈출하지 않으면 누구도 탈출할 수 없다는 것을 안다”며 “백신 공급이 엄청나게 불균형한 상황에서 우리는 이를 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자나라와 가난한 나라의 백신 수급 격차는 심각하다. 통계사이트인 ‘아워 월드 인 데이터’의 집계를 보면, 부자 나라는 3일 기준으로 백신 접종을 두 차례 모두 마친 사람이 캐나다 60.1%, 영국 57.1%, 독일 52.6%, 미국 49.3% 등으로 백신 접종이 원활하다.
반면 소득 수준이 낮은 나라에선 한 차례라도 백신을 맞은 사람이 나이지리아 1.2%, 수단 1.4%, 케냐 1.9%, 이라크 2.1%, 이집트 3.7%에 그칠 정도로 백신 수급이 열악하다.
이 집계에서 한국은 두 차례 모두 접종을 마친 사람이 14.2%, 한 차례라도 접종한 사람이 39.3%로 대략 중간쯤 위치해 있다. 이에 대해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며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어제 다른 나라에 기부한 백신 분량이 1억1천만회에 달했다고 발표했다”며 “우리는 또 미국식품의약국이 ‘추가접종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며 이를 공급할 충분한 물량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백신 추가접종은 이스라엘과 프랑스, 독일을 비롯해 많은 중동국가가 이미 시행을 하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 등 몇몇 나라는 추가접종을 검토하고 있다.